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K-MOOC 매치업 강좌
- 2022 마이데이터 국민참여단 후기
- 계층적질의문
- 마이데이터 국민참여단
- 코테
- sql
- K-MOOC 3주차
- EBH
- 측정계
- 데이터 허브
- K-MOOC
- 2주차 : ETL/CDC
- 데이터 이행
- 고전압안전
- ETCL
- 마이데이터 비즈니스 모델
- 대용량 데이터 Batch
- 1주차:메타데이터와 데이터표준화
- 구름Level
- 마이데이터 개념
- 대용량데이터 처리방안
- 무결성제약조건
- 백준
- 코딩테스트
- GROUP함수
- dbms
- 대용량 데이터 이행
- 오라클
- 마이데이터 개념과 원칙
- 대용량 데이터 처리
- Today
- Total
어제보다 더 나은 나
펀드 (집합투자상품, 간접투자상품) 본문
펀드란 투자전문회사에 돈을 맡기면 그 돈을 모아서 투자전문가들이 다양한 금융자산에 투자하고 그 이익금을 투자 금애게 따라 분배하는 간접 투자 상품이다. 투자 결과 손해를 보게 되면 개인 투자자들이 투자한 규모에 따라 그 손실을 나누게 된다. 따라서 펀드는 저축이 아닌 투자 상품이다.
일반적으로 투자신탁과 뮤추얼펀드(회사형 투자신탁)로 나뉜다.
투자신탁은 우리가 투자한 돈으로 투자전문회사가 수익증권을 사는 구조이고 뮤추얼펀드는 우리가 투자한 돈으로 가상의 주식회사를 만들고 그 회사가 수익증권을 사도록 하는 것이다. 우리는 그 가상 주식회사의 주주가 된다.
은행, 보험회사, 증권회사에서도 펀드에 가입할 수 있지만 은행은 펀드를 판매한 회사일 뿐이다. 자산운용회사에서 투자 전문가(펀드 매니저)를 고용해서 투자자에게 모은 자금을 투자한다. 그리고 신탁회사는 자산운용회사의 펀드 운용을 감시하는 회사로 은행, 증권회사, 보험회사, 증권금융회사가 그 일을 한다.
=> 펀드의 종류
* 주식형 펀드 : 위험을 감수하고 고수익을 추구하는 경우에 해당. 주가 상승에 따른 이득을 얻기 위해 주식이나 주식관련 파생상품에 60% 이상 투자하여 위험을 감수하며 고수익을 추구하는 펀드. 수익률이 주가나 파생 상품의 가격 변동에 따라 매일 상승하거나 하락하며 투자 원금을 잃을 위험도 크다. 일반적으로 주식 투자에서는 소액의 개인 투자자가 여러 종목에 분산투자하기가 쉽지 않은데 펀드는 개인 투자자들의 소액을 모아 거대 자금을 만들게 되므로 대형 우량주를 비롯해 많은 종목에 분산투자할 수 있어 개인이 주식투자할 때보다 상대적으로 수익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다. 또한 전문 투자자가 정보 수집 및 분석, 위험관리측면에서 조직적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개인 투자자에 비해 돈을 벌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 채권형 펀드 : 경기가 불황일 경우에 해당. 주식에 전혀 투자하지 않고 국공채나 회사채를 비롯해 단기 금융 상품(기업어음 CP, 양도성 예금 증서 CD)에 투자하는 펀드. 매입한 채권의 이자 수익과 매매 차익을 통해 정기 예금 이상의 수익률을 올리려 하는 것. 채권형 펀드도 실적에 따라 수익금을 분배하므로 원금을 반드시 보장해주지는 않는다. 투자 채권의 종류가 불분명하거나 지나치게 짧은 기간에 높은 수익을 올리려는 펀드는 피하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금리가 오르면 채권 수익률이 하락하고 금리가 내리면 채권 수익률이 상승하는 법이므로 금리 상승기에는 채권형 펀드 가입을 피하는 것이 좋다.
* 혼합형 펀드 : 안정성과 수익성을 추구하는 경우에 해당. 채권혼합형과 주식혼합형으로 나뉨. 주식혼합형 펀드는 주식 편입 비율이 50~60% 미만으로 다소의 손실 위험이 있으나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을 추구하기 때문에 비교적 공격적인 투자자에게 적합하다. 채권혼합형 펀드는 주로 채권에 투자하면서 일부를 주식에 투자하는 펀드로 비교적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려는 투자자에게 적합하다.
=> 투자 방법에 따른 분류
* 거치식 펀드와 적립식 펀드 : 거치식 펀드는 한 번에 목돈을 투자하는 펀드이고 적립식 펀드는 적금처럼 일정 기간마다 일정 금액을 나눠 장기간 투자하는 펀드이다. 적립식 펀드는 상대적으로 투자 위험이 낮은데 매달 일정 금액을 투자하기 때문에 주가가 낮을 때는 많은 수량을 사들이고, 주가가 높을 때는 적게 사들여 주식의 평균 매입 가격을 낮추는 효과 때문이다. 이를 '평균 매입 단가 하락 효과 (코스트 에버리지 효과)'라고 한다.
* 인덱스 펀드 (주가지수펀드) : 우량 주식을 묶은 평균 가격으로 투자 지수를 개발하고 분산 투자하여 투자 수익을 주식 시장의 평균 수익률에 접근시키려는 펀드. 인덱스 펀드에는 주가 지수 산정에 영향력을 크게 미치는 종목들이 편입된다. 펀드 운용회사는 각 업종의 주가 흐름을 대표할 수 있는 종목으로 인덱스를 구성한다.
* 하이일드 펀드 : 신용등급이 낮은 투기 등급의 채권에 집중 투자하는 고수익, 고위험 펀드. 대부분 고위험 기업어음(CP)에 자산의 50% 이상을 투자하고, 나머지는 국채 등 비교적 안전한 채권 및 주식에 투자한다.
* 재간접투자 상품 (펀드랩, 엄브렐러 펀드, 재간접 펀드) : 펀드랩은 은행이나 증권회사의 전문적인 금융자산관리사(FP)가 시중에서 판매하는 다양한 펀드 중에서 우량한 펀드를 찾아 적절하게 분산 투자하는 재간접투자 상품이다. 일반적인 펀드는 소액 투자가 가능하지만 일단 투자하고 나면 다른 펀드로 옮겨 다닐 수가 없다. 하지만 펀드랩은 최소 가입 금액이 제한되어 소액 투자하기 어려운 반면, 여러 펀드를 옮겨 다닐 수 있기 때문에 전문가에 의한 맞춤형 관리가 가능하다.
투자자는 일반 펀드보다 더 높은 수수료를 지불해야 한다. 매년 투자 금액의 1~3% 정도의 수수료를 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3개월 이내에 포트폴리오를 재조정할 경우에는 환매 수수료를 내야 한다. 따라서 포트폴리오를 바꾸려면 사전에 수익률이 얼마나 되는지 확인해 보고 결정해야 한다. 금융자산관리자가 한 계좌 안에서 투자자 개개인의 투자 성향에 맞추어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랩(Wrap)으로 싸듯이 포장하여 굴려주며 투자하는 펀드의 종목 변경, 매매 시점 자문 등 우리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일괄적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펀드랩이라고 부른다.
엄브렐러 펀드는 하나의 모 펀드에 주식형, 채권형 등 동일한 펀드 운용회사가 운용하느 다양한 펀드로 하위 펀드를 구성하고 추가 수수료 없이 자유롭게 옮겨 다니게 한 펀드이다.
재간접 펀드는 투자운용사가 여러 펀드에 분산 투자할 수 있도록하여 투자 위험을 낮춘 펀드다.
펀드랩은 엄브렐러 펀드나 재간접 펀드와 유사하지만 다양한 펀드 운용회사의 펀드를 선택할 수 있고 해외 펀드에 투자할 경우 절세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상대적으로 유리한 점이 더 많은 투자 상품이라고 할 수 있다.
* 사모펀드 : 소수의 투자자로부터 비공개적으로 모은 자금을 투자하는 펀드. 공모펀드에는 많은 규제가 있지만 사모펀드에는 별다른 규제가 없다. 보통 뉴스에서 많이 접하느 헤지 펀드란 자산운용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구사할 수 있도록 규제가 완화된 사모펀드의 일종이다.
* 공모펀드 : 시장에서 공개적으로 모집한 자금을 투자하는 펀드
'기타 보관 > 금융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핀테크란? (0) | 2022.03.16 |
---|---|
파생상품 (0) | 2022.03.08 |
채권 (0) | 2022.03.03 |
투자의 종류, 주식의 종류, 배당금의 종류 (0) | 2022.02.28 |
BIS 자기자본비율, 금융상품 주의사항 (0) | 2022.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