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K-MOOC 3주차
- 데이터 이행
- EBH
- 2주차 : ETL/CDC
- 1주차:메타데이터와 데이터표준화
- K-MOOC 매치업 강좌
- GROUP함수
- 코테
- 대용량데이터 처리방안
- 2022 마이데이터 국민참여단 후기
- 계층적질의문
- 측정계
- 마이데이터 개념
- 오라클
- 고전압안전
- dbms
- K-MOOC
- 대용량 데이터 이행
- sql
- 마이데이터 비즈니스 모델
- 대용량 데이터 Batch
- 대용량 데이터 처리
- 마이데이터 개념과 원칙
- 구름Level
- 데이터 허브
- 코딩테스트
- 백준
- ETCL
- 무결성제약조건
- 마이데이터 국민참여단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43)
어제보다 더 나은 나
import sys N = int(input()) dot_list = [] for _ in range(N): dot = list(map(int, sys.stdin.readline().split())) dot_list.append(dot) # print(dot_list) dot_list.sort(key=lambda x: (x[0], x[1])) for j in range(N): print(dot_list[j][0], dot_list[j][1])
n = int(input()) for i in range(n) : message = input() dict = {} answer = 'OK' ch = 0 for j in range(len(message)) : if message[j] not in dict.keys(): dict[message[j]] = 1 else : dict[message[j]] += 1 #print(message[j], dict[message[j]]) if dict[message[j]] == 4: dict[message[j]] = 0 #print(j) if (dict[message[j]] > 0) & (dict[message[j]]%3 == 0): # print(dict[message[j]]) if j+1 < len(message) ..

[자바스크립트 이전의 웹 페이지의 단점]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지 않은 웹 페이지는 사용자가 서버에 특정 페이지를 요청하면 서버는 html파일과 css 파일을 넘겨주고, 사용자의 컴퓨터 혹은 스마트폰의 브라우저는 이 파일을 렌더링해서 화면에 보여주는 방식이기에 정적인 페이지를 보여줄 때 적합한 형태. 화면 내용 중 아무리 작은 요소만 바꾸려고 해도 서버에 다시 요청해서 새로운 html 파일과 css 파일 전체를 다시 받아와야 하기 때문 자바스크립트 코드는 태그 안에 위치 태그 안에 자바스크립트 함수 doSomething()이 선언되어 있음 문서 안의 요소 중 id가 inputA, inputB인 input 요소의 값을 가져와 변수 a, b에 저장 id가 valueA, valueB인 요소의 텍스트를 a, b로..

* HTML 태그 종류 : 문서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가 담겨 있음. : 웹 페이지의 제목을 나타냄 : 주로 화면에 나타나는 내용이 담겨 있음. : navigatinon. 웹 사이트의 주요 페이지를 안내하는 내비게이션 역할을 만들 때 사용 : anchor. 해당 부분을 클릭하면 페이지가 이동하도록 만들고 싶을 때 사용. 넘어갈 링크는 href로 지정 ~ : headline. 헤드라인을 보여줌. 브라우저 상에서 보면 크기가 다름 : paragraph. 문단 : horizon. 웹 사이트에 수평선을 그어주는 태그 : 이미지 소스 위치(src)를 지정하면 해당 이미지를 보여줌. width와 height로 이미지 크기 지정 가능 [nav의 버튼에 스타일 추가 (색 변경 및 정렬, 링크 추가)] * nav 태그 안..

* 롤 다수 사용자와 다양한 권한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서로 관련된 권한을 그룹화한 개념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통한 일시적 권한 부여 철회 가능 암호 부여 가능 사용자 또는 다른 롤에 대한 접근 권한 부여 및 철회 가능 자신에 대한 롤 부여나 순환적인 롤 부여는 불가능 롤은 특정 소유자나 특정 객체에 속하지 않음 * CONNECT 롤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세션을 생성할 수 있는 권한 테이블 또는 뷰와 같은 객체를 생성할 수 있는 권한 * RESOURCE 롤 사용자에게 자신의 테이블, 시퀀스, 프로시저, 트리거 객체 생성 사용자 생성 시 : CONNECT롤과 RESOURCE롤을 부여 * DBA 롤 시스템 자원의 무제한적인 사용이나 시스템 관리에 필요한 모든 권한 DBA 권한을 다른 사람..